• quick

ֽŻ

중동발 잿팟... 정부 후속 지원책 최대 관건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6-05-10   조회수 : 2305
파일첨부 :
2016-05-09

朴 대통령 세일외교 ‘성과’… 장기적 관점 금융ㆍ공기업 진출로 확보 등 지원해야



박근혜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중동의 마지막 블루오션인 ‘이란’의 문을 열었다.

지난해 중동 4개국(아랍에미리트ㆍ사우디아라비아ㆍ카타르ㆍ쿠웨이트)을 방문해 원자로와 스마트그리드 등 새로운 고부가가치 부문의 협력 및 공동투자협력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고, 같은 해 한ㆍ체코 정상회담에서는 10조원 규모의 원전 건설에 참여하는 기반을 확보하기도 했다.

그렇게 올해 쿠웨이트 정유공장 건설공사를 수주했고, 원전 건설에서도 대규모 재정투자를 앞세운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번 한ㆍ이란 정상외교에서도 이러한 ‘세일즈 외교’ 성과는 빛을 발하고 있다.

다만 60여건에 달하는 양해각서 수준의 협약을 어떻게 본계약까지 이끌어갈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개념설계(FEED) 단계인 이란발 특수 효과를 박근혜 대통령이 남은 임기(1년9개월) 동안 본계약 체결로 이어갈 지원책을 마련하게 될지 주목된다.

이란 ‘잭팟’ 쓸어담을 포대에 구멍 많아

박근혜 대통령이 이란 국빈 방문으로 ‘제2 중동붐’을 국정 운영의 모멘텀을 만들어내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인 이란으로부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지지를 얻어낸 것은 물론 30개 프로젝트에서 총 6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42조원(사업의 2단계 공사까지 고려하면 52조원) 규모의 경제 성과를 창출했다.

다만 중동발 ‘잭팟’은 터졌지만, 성과를 쓸어담을 포댓자루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1년 전 중동 4개국 방문 때도 이러한 성과는 쏟아진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3월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를 차례로 방문했다.

당시 정부는 에너지와 원전 건설, 플랜트, 투자, 보건 의료, ICT, 건설 인프라 협력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협력 성과를 발표했다.

그렇게 ‘제2 중동 붐’을 강조했고, 경제위기 극복의 원동력을 만들자며 청년일자리 창출로 연계될 수 있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대우건설과 현대건설, SK건설, 한화건설, 현대중공업 등 5개 한국 건설사는 쿠웨이트에서 46억달러(약 5조2800억원) 규모의 쿠웨이트 알주르 정유공장 건설사업 본계약을 체결했고,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올 초 29억3000만달러 규모의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공사를 수주하는 성과를 마련하기도 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사우디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 간 스마트 원전 건설 전 상세설계(PPE) 협약을 체결하는 결실을 보기도 했다.

그러나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진 사업은 물론 수주 경쟁에서 뒷전에 밀린 사업도 많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당장 박 대통령이 지난해 중동 4개국 순방 과정에서 아랍에미리트(UAE)와 협력기로 한 에티하드 철도 공사(40억달러)는 국제 유가하락 영향으로 중단됐고, 카타르에서는 2022년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8개 경기장과 도로 등 인프라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었지만 이미 유럽이나 현지업체 컨소시엄 등이 수주전에서 깃발을 꼽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대통령이 (해외에) 방문한 뒤 적정한 계약조건을 붙여 협의하는 건 기업의 몫이다. 그렇더라도 정부는 성과만 발표할 게 아니라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면서 “게다가 정부가 나서서 사업 성과를 보도했는데, 이게 잘못되거나 수주에서 탈락했다는 사실을 알리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국내에서는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 이후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건설주에 대한 반응마저 차가운 상태다.

이란 수혜주로 예상됐던 대림산업과 현대건설, 대우건설은 지난 4일 기준으로 각각 6.40%, 5.43%, 0.83% 하락한 8만3300원, 3만6600원, 6010원에 마감한 상태다.

장기화될 ‘투자개발형’ 사업 지원책 절실

특히 이란발 ‘잭팟’은 과거 중동발 수주 성과와 달리 ‘투자개발형’ 사업이 상당수여서 이에 발맞춘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지원 정책이 수주전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란은 37년간 이어진 경제제재로 재정이 고갈된 상태인 만큼 단순히 ‘잘 해보자’식의 선언적인 MOU가 아닌 실질적인 본계약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정부의 외교ㆍ금융 등 실질적인 수주 지원 정책이 제시돼야 한다는 의미다.

당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란에 550억 달러 지원을 약속했고, 오는 8월 이란을 방문할 예정인 아베 일본 총리도 대대적인 신용융자를 약속한 바 있어 이미 이란 시장을 놓고 국가 간 보이지 않는 수 싸움은 시작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이란은 경제제재 해제 이후 중국과 같은 정부의 대규모지원 프로그램을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다. 결국 금융이 수주전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게다가 프로젝트 규모가 크고, 투자개발형 사업인 만큼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 단순 도급 사업은 대통령 방문을 계기로 본계약 체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이란 사업은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지원 없이는 수주를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 초까지만 해도 ‘중동만 바라보다가는 망하겠다’는 말이 나돌았다. 경제제재가 풀린 이란 건설 시장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달러 거래를 원하지 않는 데다 직접 공사 자금을 조달해서 입찰에 참여하라는 조건을 내걸고 있어 정부의 지원책 없이는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란은 달러를 쓰지 않고 유로화 거래를 요구하는 반면 우리는 유로화 직거래 시장이 없어 2단계 환전절차를 밟아야 하는 구조다.

정부와 민간기업, 금융기관이 3인4각 경주와 같이 협력해야만 하는 민관협력사업(PPP)에 대한 지원책 마련도 주요 과제로 꼽혔다.

석유수입을 기반으로 한 중동국가의 재정여건이 악화되면서 인프라 사업을 자체 재원이 아닌 시공자의 금융 주선 또는 정부와 민간이 사업비 분담하는 PPP 방식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예측에 따라 공기업이 민간기업과 공동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넓히고,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란 순방에서) 좋은 프로젝트는 성과가 나오겠지만, 급조된 프로젝트라면 진전이 안 되던가 수주를 했다가 적자를 볼 우려가 있다.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수주를 못 해서 어닝쇼크가 온 게 아니다. 얼마나 적정한 계약조건으로 MOU를 본계약으로 이어갈 수 있을지를 살펴봐야 한다”면서 “게다가 이번 이란에서 성과로 제시된 상당수 사업은 (우리가) 재정을 투입해야 하는 투자개발형 사업이다. 장기간에 걸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사업인)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이번 성과를 이어갈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형용기자 je8day@

출처 : 건설경제
이전글 정부, 터키 민자병원 수주 지원사격
다음글 LH, 쿠웨이트에 분당 3배 규모 신도시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