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uick

ֽŻ

녹색혁명의 중심에 선 건설산업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6-05-16   조회수 : 2480
파일첨부 :

2016-04-19

 

전통에서 첨단으로 변화해야

 

지난해 말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은 산업의 녹색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파리기후협약은 이번 세기 말인 2100년까지 산업화 시대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폭을 1.5℃로 제한한 것이 핵심이다. 1997년 교토의정서 이후 목표치였던 2.0℃에서 더욱 강화했다.


이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은 전지구적 의무이자 과제로 자리매김했으며, 이에 따라 산업 생태계는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대전제 하에 산업 간 융합 및 재편성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건설산업도 예외일 순 없다. 온실가스의 40%가 건축물의 생성-소비-철거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건설산업은 녹색혁명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실용적인 설계ㆍ설치에만 집중했던 건설은 앞으로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보다 생산적으로 변신해야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꿔 말하면 가장 전통적인 산업에서 가장 첨단적인 산업으로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제로에너지’ 넘어 ‘플러스에너지’로

사실 건설산업의 녹색바람은 파리기후협약 이전부터 불기 시작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이 그것이다. 단열 등 패시브 기술에서 출발한 건축물 에너지 절감 움직임은 소규모 태양광ㆍ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술에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이 더해지면서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제로’를 추구하고 있다.

제로에너지 기술은 이미 개발 차원을 넘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개발된 요소 기술들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남은 과제이다. 최근 에너지 ‘프로슈머(생산자+소비자)’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듯이 거듭된 기술개발이 이뤄진다면 제로에너지를 넘어 플러스에너지 건축물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물뿐 아니라 도로ㆍ교량 등 토목 부문도 첨단화하고 있다. 사고피해 경감, 도로 효율성 향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ITS(지능형교통시스템) 및 자율주행도로는 교통 분야에서 건설이 앞으로 나가야 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2020년까지 전 고속도로의 ITS 설치를 목표로 스마트 도로인프라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ITS 및 자율주행도로는 스마트카 등 자동차산업과도 연계된다.

첨단건설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미래형 도시모델로는 스마트시티가 손꼽힌다. 스마트시티는 IoT(사물인터넷)로 대변되는 방대한 데이터와 텔레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해 도시의 기반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구석구석까지 연결돼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 시민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도시다.

생활쓰레기를 예로 들자면 지금은 용역업체가 주기적으로 쓰레기 더미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는 거주자보다는 용역업체의 편의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스마트시티에서는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해 무슨 요일, 무슨 시간에 쓰레기를 버리는지 파악해 용역업체가 그 시간에 맞춰 지역을 돌게 된다.

거주자 중심으로의 서비스 전환은 물론 쓰레기 수거가 바로 이뤄지면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용역업체의 입장에서도 최적의 수거 이동선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곧 온실가스 저감으로 이어진다.

저탄소화는 미래도시 핵심

스마트시티는 ICT 기반의 ‘스마트 플랫폼’을 통해 구현된다. 스마트그리드(전력난), 스마트워터그리드(물부족), 스마트트랜스포트(교통체증), 스마트파킹(주차난) 등이 스마트 플랫폼 등이다.

스마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첨단건설의 수요는 풍부하다. 스마트그리드를 예로 들면 AMI(지능형 전력량계), ESS(에너지저장장치), EMS(에너지관리시스템) 등 전력 기자재나 IT기술을 핵심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 요소 기자재ㆍ기술들을 종합해 실질적인 인프라를 구축ㆍ제공하는 것은 건설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기존 건축물의 리노베이션 시장에도 주목해야 한다. 아무리 신규 건축물을 제로에너지로 짓는다고 해도 신기후체제에서 합의한 지구온도의 상승 제한을 달성할 수는 없다. EU(유럽연합) 집행위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인 ‘융커플랜’을 통해 총 3150억유로(약 407조3200억원)의 자금을 마련, 2030년까지 건축물 리노베이션에 나설 계획이다.

국책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탄소제로시티, 스마트그린시티, 스마트시티 등 명칭은 다르지만 미래의 도시를 논할 때 에너지 문제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건설되는 신도시를 제외하고 온실가스 저감 대상 건축물의 95%가 기존 도시에 존재한다”면서 “앞으로 신도시뿐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저탄소화가 미래 도시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회훈기자 hoony@

 

출처 : 건설경제

이전글 유신, 경동, 수성 등 1~4월 수주실적 '껑충'
다음글 건설, 에너지에 빠지다